지은이 홍원식 외 8명 출판사 계명대학교출판부 발간연도 2021-11-30 정가 27,000원 ISBN 979-11-6516-092-0 (93150)
일제강점기의 낙중학, 한주학파 재전 제자들과 영남 유현들의 활동과 사상

일제강점기에 이르면 낙동강과 금호강이 합류하는 낙동강 중류 지역은 이른바 ‘구학舊學’과 ‘신학新學’이 공존, 교차하는 가운데 구학문 분야에서는 조선 말 성리학의 대가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(1818~1886)의 재전再傳 제자들과 더불어 여러 인물이 나름 학술과 사회활동 분야에서 다양하면서도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. 우리는 이를 통해 낙동강 중류 지역을 넘어서서 우리 민족과 국가가 마주한 시대적 대 전환기에 선 ‘구시대’ 지식인들의 고뇌에 찬 몸부림과 마지막 씨앗이라도 한 톨 간직하려 드는 간절한 모색을 볼 수 있을 것이다.
본 책에는 총 9편의 글을 실었다. 맨 앞 홍원식(계명대)의 총론 글에 이어 황지원(동국대)이 진암眞庵 이병헌李炳憲, 이행훈(한림대)이 성와省窩 이인재李寅梓, 김낙진(진주교대)이 중재重齋 김황金榥, 김기주(계명대)가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, 김현수(성균관대)가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, 임종진(경북대)이 심재深齋 조긍섭曺兢燮, 심도희(대구대)가 공산恭山 송준필宋浚弼, 정병석(영남대)이 중산中山 박장현朴章鉉의 생애와 활동 및 철학사상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이 실려 있다. 이곳에 실린 인물들 중에는 어느 정도 연구된 이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이도 있지만, 본 책이 이들을 함께 묶어 살펴봄으로써 무엇보다 일제강점기 낙동강 중류 일대에서 전개된 구학의 여운을 짙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.
【차례】
책을 펴내며 / 5
∙ 일제강점기의 낙중학
- 한주학파의 재전 제자들을 중심으로 / 홍원식
1. 머리말 _ 14
2. 한주학파 재전 제자들의 한주학 계승 _ 17
3. 학파의 관점에서 본 활동 양상 _ 23
4. 맺음말 _ 36
∙ 진암 이병헌의 공교운동과 금문경학 / 황지원
1. 머리말 _ 42
2. 생애와 사상적 변천 _ 45
3. 공교운동의 사상적 근거 _ 54
4. 금문경학에 대한 이해 _ 65
5. 맺음말–한주학과의 연관성 _ 71
∙ 성와 이인재의 철학 지평과 실천 / 이행훈
1. 한주학 계승 _ 74
2. 리와 심의 주재성 확립 _ 77
3. 구학문과 신학문 절충 _ 84
4. 중역된 ‘철학’과 논변 _ 91
5. 해석과 전유 _ 94
∙ 중재 김황의 심즉리설 옹호와 활동 / 김낙진
1. 시대와 환경 _ 98
2. 동유심학약도 _ 102
3. 심즉리설 변호 _ 110
4. 심설과 실천 _ 116
5. 유교세계의 몰락 _ 125
∙ 회봉 하겸진의 학문 활동과 성리학적 특징
- 『회봉선생연보』를 중심으로 / 김기주
1. 일제강점기의 한주학 _ 132
2. 생애와 활동을 통해서 본 삶의 방향 _ 135
3. 저술을 통해서 본 학문적 지향 _ 142
4. 성리학의 내용과 특징 _ 149
5. 도학의 계승을 위해서 _ 159
∙ 심산 김창숙의 유교 인식과 독립운동의 전개 / 김현수
1. 머리말 _ 164
2. 심산의 유학 인식과 한주학파와 관련성 _ 167
3. 독립운동의 전개와 변화 양상의 요인 _ 174
4. 맺음말 _ 189
부록 _ 190
∙ 한주학파의 성리학에 대한 심재 조긍섭의 비판 / 임종진
1. 머리말 _ 198
2. 심재 조긍섭의 성리학적 학술 연원 _ 200
3. 성리학 논변에 대한 심재 조긍섭의 기본 입장 _ 205
4. 성리학과 관련된 심재 조긍섭의 한주학파 비판 _ 210
5. 맺음말 _ 224
∙ 공산 송준필의 성리사상과 사회적 실천 운동
- 한주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/ 심도희
1. 머리말 _ 228
2. 학문의 연원과 의리 실천 _ 230
3. 주리적 성리설 _ 234
4. 한주학의 심즉리 비판 _ 242
5. 맺음말 _ 249
∙ 중산 박장현의 자존철학 / 정병석
1. 머리말 _ 252
2. 박장현의 현실 진단과 학문구세론 _ 255
3. 자존의 의미와 전개 _ 261 4. 유교개혁론과 공교관 _ 267
5. 신사학론과 민족자존론 _ 274
6. 맺음말 _ 281
참고문헌 _ 283

지은이 홍원식 외 8명 출판사 계명대학교출판부 발간연도 2021-11-30 정가 27,000원 ISBN 979-11-6516-092-0 (93150)
일제강점기의 낙중학, 한주학파 재전 제자들과 영남 유현들의 활동과 사상
일제강점기에 이르면 낙동강과 금호강이 합류하는 낙동강 중류 지역은 이른바 ‘구학舊學’과 ‘신학新學’이 공존, 교차하는 가운데 구학문 분야에서는 조선 말 성리학의 대가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(1818~1886)의 재전再傳 제자들과 더불어 여러 인물이 나름 학술과 사회활동 분야에서 다양하면서도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. 우리는 이를 통해 낙동강 중류 지역을 넘어서서 우리 민족과 국가가 마주한 시대적 대 전환기에 선 ‘구시대’ 지식인들의 고뇌에 찬 몸부림과 마지막 씨앗이라도 한 톨 간직하려 드는 간절한 모색을 볼 수 있을 것이다.
본 책에는 총 9편의 글을 실었다. 맨 앞 홍원식(계명대)의 총론 글에 이어 황지원(동국대)이 진암眞庵 이병헌李炳憲, 이행훈(한림대)이 성와省窩 이인재李寅梓, 김낙진(진주교대)이 중재重齋 김황金榥, 김기주(계명대)가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, 김현수(성균관대)가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, 임종진(경북대)이 심재深齋 조긍섭曺兢燮, 심도희(대구대)가 공산恭山 송준필宋浚弼, 정병석(영남대)이 중산中山 박장현朴章鉉의 생애와 활동 및 철학사상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이 실려 있다. 이곳에 실린 인물들 중에는 어느 정도 연구된 이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이도 있지만, 본 책이 이들을 함께 묶어 살펴봄으로써 무엇보다 일제강점기 낙동강 중류 일대에서 전개된 구학의 여운을 짙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.
【차례】
책을 펴내며 / 5
∙ 일제강점기의 낙중학
- 한주학파의 재전 제자들을 중심으로 / 홍원식
1. 머리말 _ 14
2. 한주학파 재전 제자들의 한주학 계승 _ 17
3. 학파의 관점에서 본 활동 양상 _ 23
4. 맺음말 _ 36
∙ 진암 이병헌의 공교운동과 금문경학 / 황지원
1. 머리말 _ 42
2. 생애와 사상적 변천 _ 45
3. 공교운동의 사상적 근거 _ 54
4. 금문경학에 대한 이해 _ 65
5. 맺음말–한주학과의 연관성 _ 71
∙ 성와 이인재의 철학 지평과 실천 / 이행훈
1. 한주학 계승 _ 74
2. 리와 심의 주재성 확립 _ 77
3. 구학문과 신학문 절충 _ 84
4. 중역된 ‘철학’과 논변 _ 91
5. 해석과 전유 _ 94
∙ 중재 김황의 심즉리설 옹호와 활동 / 김낙진
1. 시대와 환경 _ 98
2. 동유심학약도 _ 102
3. 심즉리설 변호 _ 110
4. 심설과 실천 _ 116
5. 유교세계의 몰락 _ 125
∙ 회봉 하겸진의 학문 활동과 성리학적 특징
- 『회봉선생연보』를 중심으로 / 김기주
1. 일제강점기의 한주학 _ 132
2. 생애와 활동을 통해서 본 삶의 방향 _ 135
3. 저술을 통해서 본 학문적 지향 _ 142
4. 성리학의 내용과 특징 _ 149
5. 도학의 계승을 위해서 _ 159
∙ 심산 김창숙의 유교 인식과 독립운동의 전개 / 김현수
1. 머리말 _ 164
2. 심산의 유학 인식과 한주학파와 관련성 _ 167
3. 독립운동의 전개와 변화 양상의 요인 _ 174
4. 맺음말 _ 189
부록 _ 190
∙ 한주학파의 성리학에 대한 심재 조긍섭의 비판 / 임종진
1. 머리말 _ 198
2. 심재 조긍섭의 성리학적 학술 연원 _ 200
3. 성리학 논변에 대한 심재 조긍섭의 기본 입장 _ 205
4. 성리학과 관련된 심재 조긍섭의 한주학파 비판 _ 210
5. 맺음말 _ 224
∙ 공산 송준필의 성리사상과 사회적 실천 운동
- 한주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/ 심도희
1. 머리말 _ 228
2. 학문의 연원과 의리 실천 _ 230
3. 주리적 성리설 _ 234
4. 한주학의 심즉리 비판 _ 242
5. 맺음말 _ 249
∙ 중산 박장현의 자존철학 / 정병석
1. 머리말 _ 252
2. 박장현의 현실 진단과 학문구세론 _ 255
3. 자존의 의미와 전개 _ 261 4. 유교개혁론과 공교관 _ 267
5. 신사학론과 민족자존론 _ 274
6. 맺음말 _ 281
참고문헌 _ 283